날씨가 많이 더워졌다. 3~4년 전부터 한 여름 거실 에어컨으로는 집 전체가 시원해지지 않는 것 같다. 아님 몇 년 한여름 더위가 너무 심해서인지 그 전에는 거실 에어컨 가동만으로 모든 방까지 모두 시원했던것 같은데.. 

 

 때문에 아이들 방에 에어컨을 추가로 설치하려니, 아이들방 구조상 벽걸이 에어컨은 설치하기 어려워서 창문형 에어컨을 지난해부터 고려중이었다.  잠시 잊고 있었던 기억이 날이 더워지기 시작하니 다시금 떠올랐다. . 

 

 해외 직구시 가격도 저렴하고 소음도 거의 없다던 것이 생각나 찾아보니 여름이 시작되어 인지 배송비와 관부가세 등을 고려하면 국내가격과 비슷한 상황이다. (e-bay에서 착한가격을 찾았지만, 리퍼제품이라 제외)

 

 더욱이 해운 배송으로 인한 기간, 국내제품과 달리 전용 창문 키트가 없다는 점, 220V까지 사용이 가능한 제품은 몇 개 없는 점 등으로 국내 제품으로 구입하기 했다. 

 

 올해 파세코에서 창문형 에어컨2로 인버터형이 출시되어 소음문제가 개선되고 전기도 정속형보다 적게 소비한다고 해서  파세코로 결정하였다. 

 

>> 파세코 인버터 창문형 에어컨2  <<

>>파세코 에어컨 창문 추가 키트<<

 

 거기에다 에너지 소비 효율 1등급으로 으뜸효율 환급도 가능하여 신청하면 구매금액의 10%를 환급받을 수 있다. 전기요금도 아끼고 환급도 받고.. ^^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

--> [전국민 대상]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 에너지소비효율을 먼저 생각하는 현명한 소비자의 첫걸음, 으뜸효율 가전제품을 선택한 당신에게 그 혜택을 되돌려 드립니다. 환급 신��

rebate.energy.or.kr

 

 아이들방에 각각 설치를 위해 2개를 구매하려다 개선된 파세코 인버터 창문형 에어컨2(PWA-3200WN)도 소음에 대한 언급이 많아 우선 1대를 주문해봤다. 소음 문제는 개인적인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애매한 부분이다. (스펙에 표기 되어 있는 소음은 어느 유튜버가 틀었는지도 모를 정도로 조용하다던 직구 LG창문형과 같다. 그래서 직접 확인해 보기로...). 솔직히, 소음이 있다고 해도 벽걸이형 안되는 곳에 이보다 더 좋은 대안은 없어 보인다.

 

  에어컨을 설치할 아이방은 창이 벽면 전체를 커버하는 타입이기 때문에 벽걸이형 에어컨의 배관을 베란다로 타공할 공간이 없다.   

   창의 높이도 148cm 이상이라서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2 설치에 추가 키트도 필요했다. 

 

 여러개의 추가 키트를 연결하면 창의 높이 제한은 없다한다. 창의 높이를 측정해 보니 2.27m로 98cm인 2번째 추가 키트를 함께 구매.  도착한 두 녀석 부피가 만만치 않다. 에어컨 본체는 무게도 좀 나간다. 여성이라면 번쩍 들고 움직이기는 힘들다.  

 

 창문 설치 거치대는 추가 키트를 하단에 에어컨 본체와 함께 들어 있는 기본 거치대를 상단에 아래와 같이 연결하면 되는데, 동봉된 설명서나, 파세코에서 제공하는 설치 동영상은 기본조건 외의 환경에 대한 상세 설명이 좀 부족하다. (대충 설치하는데는 문제 없음)

 

 

 - 파세코 설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reload=9&v=o_bMoaEu7Gw

 - 두꺼운 창틀 설치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DQyIik9sZ4w&feature=youtu.be 

 

  먼저 기본 거치대 하단에 있는 창문 연결 고정 브라켓을 분리하여 추가 거치대 하단으로 이동 조립하고(좌), 기본 거치대 좌/우에 있는 볼트와 추가 거치대 연결 부위에 있는 볼트를 풀어 준다. 

(좌) 기본키트 하단, (중) 기본키트 좌/우, (우)추가 키트 연결 부분

 

 다음 두 거치대를 맞붙이고 기본 거치대에서 분리한 좌/우측 볼트 각 하나와, 기본/추가 거치대 상하 연결 부위의 볼트를 체결한다. (좌/우측 볼트는 기존 것을 각 하나씩 체결한 후 나머지는 추가 키트에 봉동된 볼트를 사용한다. 조립 동영상엔 추가 키트에 동봉된 볼트를 사용하라는 내용도 없고 설명서에만 표기 되어 있는데, 굳이 추가 키트에 동봉된 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문제는 없음.) 

추가 키트에 동봉된 볼트와 너트로 체결

 

 창문 장착시 하단의 창문 고정 브라켓이 창틀 첫번째 부분에 맞도록 설치하라고 되어 있다. 창틀 첫번째 부분이 1.2cm보다 클 경우에는 창문 고정 브라켓을 180도 회전하여 부착하면 되는데.. 

 우리집은 하단은 180도 회전하여 부착시 문제가 없으나 상단 부분은 사진처럼 상단 첫번째 부분이 창문 고정 브라켓을 회전하여 조립하여도 들어갈 수 없는 넓이라 창틀 두번째 부분에 맞추어 설치를 진행했다.(정확히는 첫번째 창 레일)

 

 아랫부분을 먼저 브라켓에 맞춰 창틀에 끼워넣고 기본 거치대의 자바라 부분을 늘여서 위쪽부분을 맞춘다음 자바라 하단 양쪽에 있는 볼트를 조여서 고정하면 되는데, 이때 상단 고정 브라켓 부분이 창틀에 잘 걸려서 앞뒤로 빠지지 않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설치 동영상에는 자라바라를 맞춰 놓고 그냥 볼트를 고정하던데, 우리집은 설치시 꼭 잡고 있지 않으면 자바라 부분이 조금 내려와서 창틀에 걸리지 않은 상태로 고정 나서를 조이게 되더라.) 파세코에서도 단단한 고정의 필요성을 느꼈는지 각 면에 2개씩 고정 볼트가 있는데,  볼트가 어떤 부위에 걸리거나 구멍에 체결되는 방식이 아니다.  좀 더 확실한 체결 방법으로 변경되면 좋을것 같다.  

 

 아래 부분은 에어컨 무게로 창틀에서 고정틀이 이탈할리 없지만 위쪽은 제대로 걸려 있지 않음 에어컨 설치시 창문 설치 키트가 이탈되어 위험할 수 있다. 이부분은 꼭 주의해야 한다. (에어컨 본체 무게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창틀 고정과 관계된 부분은 중요하다.)

 

 그리고 창문 고정 브라켓 부분에서 아쉬운 부분을 발견했는데, 1.2cm 이상 창틀의 경우 창문 고정 브라켓을 180도 회전하여 조립시 아래의 브라켓 고정 볼트가 창틀에 닿게 되는데, 이것 때문에 볼트 머리가 창틀을 손상시킨다. 조심히 창틀에 장착을 한번에 한다면 문제 없지만, 막상 나는 상단 상틀 넓이 문제로 장착과 탈거를 몇번 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하단 샷시 부분에 손상이 생겼다. ㅠ.ㅠ  개선 되었으면 하는 부분.(조건에 따라 한번에 설치가 불가능한 사용자를 위한 배려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거치대가 창틀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상/하단에 샷시 보호판을 샷시와 고정 브라켓 사이 넣고 볼트 조여 고정하면 된다. 

  창문 거치대 설치가 끝나고 에어컨 본체를 거치대의 에어컨 설치 부분 하단부터 맞추고 밀어 넣으면 딸깍 소리가 나면서 창문 거치대에 연결이 된다. 그리고 볼트로 고정하면 모든 설치가 끝난다.

 

최종 설치후 전원을 넣고 최저 온도로 설정하여 인버터 작동시까지 기다리며, 바람세기 풍향등을 조작해 보았다. 

 

 바람세기는 1~3단까지로 넉넉하였고, 바람으로 인한 소음은 여느 에어컨과 다르지 않다고 느꼈다. 풍향 조정은 좌우만 리모컨으로 조작이 가능하고 상하는 수동이다.  잠시후, 인버터가 작동되는지 바람 외의 소리가 추가 되었다. 바람도 차가워졌다.

 

 자~ 그럼 소음은?  우리 가족은 모두 '생각했던 것보다 조용하다' 라는 의견이다. 오히려 소음보단 거치대와 창틀 사이의 씰링이 부실하여 어떻게 보강할까를 더 많이 얘기했다.    

 

>> 파세코 인버터 창문형 에어컨2  <<

>>파세코 에어컨 창문 추가 키트<<

 

 

 홈오토메이션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알게된 조명의 중요성. 그리고 조명이 가장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자동화라고 한다.

 

 눈에 편안하고 부드러운 조명이 주는 안락함과 주변 밝기에 따라 광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디밍(Dimming의 매력에 푹 빠져들고 있다. 

 

  그래서, 직광형태가 아닌 반사광을 이용하고 2700-3000K(Warm white)으로 눈에도 좋으며,  밝기 조절(Dimming)이 가능한 LED 디머블 간접등을 거실에 설치하기로 했다. LED Light가 주는 전력 효율은 덤이다.

 

간접등 설치 대상은 반사광을 이용하는 조명임으로 TV쪽 벽부로 설정했다. 반대쪽 벽부도 마찮가지이지만, 모두 벽부쪽 천장에 조명이 설치 되어 있지 않아서 인테리어적인 효과도 있어 보인다. 

 

 반대쪽 쇼파가 위치한 벽부쪽은  화이트 톤의 에코스톤이라 등 설치시 어색할 것 같다는 안주인님의 의견으로 짝맞춤을 원했지만 한쪽은 포기하기로 했다.  

 

 

전체 벽부가 5등분 되어 있어 넓이를 생각해서 Bar 형태의 LED Dimmable Light 2개를 각각 2번째, 4번째 분할 위치 가운데 설치하기로 하고, 매립형 타입으로 구매하였다.

 

Wallwash Light로 45도 각도로 벽으로 빛을 비춰 반사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개를 설치해야 함으로 간격과 위치를 맞추기 위해 레벨기로 타공 지점을 잡아주고,

 

매립을 위한 타공 라인을 표시했다. 

 

 자동화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벽부 스위치와 관계없이 상시 전원으로 연결했다. 배선은 인출선과 옷걸이 신공을 사용하여 나름 수월하게 해결했다. 시공전 문제가 될 많한 점은 최대한 고려했다.

 

 설치 과정중 가장 큰 문제는 타공시 생기는 분진과 소음이다.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의 날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닐, 마스크, 작업 보안경 준비하고 멀티커터로 작업실시. 이렇게 준비하고 작업해도 주변이 완전 난리가 된다. 그래도 이런 작업을 할 수 있게 허락해 준다. 깔끔이 와이프가 나를 많이 배려해 주는 부분이다. 

 

타공후 모습. 생각보다 이쁘게 작업 완료..  벽부 라인과 깔마춤한다고 천정 스터드는 조금 잘라낼 각오로 시작했지만, 막상 생각과 다른 부분이 생겨 개고생은 좀 했다. 

디밍 드라이버(Dimming Driver)와 배선은 천장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결선이나 스파크 발생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 튜브형 커넥터로 연결, 아쉽게도 드라이버에 접지 라인이 없다.

 

타공 위치에 맞춰 끼워 넣으니 깔끔하게 완료..

 

마지막으로, Fibaro Dimmer2에 연결..   설치전 테스트에서는 문제 없었지만, 설치후 한번더 작동 시험.

 

문제없이 잘 반응한다. ㅎㅎ

 

디밍도 확인 실시. .

 

 

  100% 밝기로 설정시 34.1W, 1%로 설정시 2.7W 전력소비....

일몰 전 저녁시간 대에는 20~25%, 야간에는 1%로만 설정해도 광량이 충분하다. 

 

나중엔 조도센서 값으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 Lua 공부도 해야겠네.. ㅋㅋㅋ

우선 이쁘기도 하고 실내 공기 순환으로 효율적인 실내 온도 관리가 된다고 해서 구입을 고민했다. 

 

에어라트론과 루씨에어 제품이 많이 회자되는 제품인듯 하더라..

 

내가 검색한 결과는 에어라트론 쪽으로 많이 기울어지는 듯 하던데,  루씨에어는 천장에서부터 내려오는

 

크기 문제로 선택하는 것 같았다. 

 

사실 내 취향에 맞는 디자인은 에어라트론이다.

 

우리집은 아파트 최상층이라서 거실이 우물천장이다.  천고를 측정하니 2600mm 설치가 가능할 것 같고

 

기존에 거실 중앙중이 샹들리에이어서 내려오는 크기는 신경쓰지 않기로 했다. (거실 중앙은 테이블도 있기

 

때문에 중앙에 서서 손을 들거나 하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을듯 하다.)

 

날개 3개인 AE3-50으로 에어라트론 코리아(https://smartstore.naver.com/smartledshop)에서구매

 

에어라트론 코리아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에어라트론 실링팬 한국 총판

smartstore.naver.com

생각했던 것보다는 부피가 크지 않은 BOX가 도착

반조립 제품으로 각 부속이 이루어져 있어 제품 완성은 어려워 보이지 않았다.

 

다만, 모터는 생각했던것 보다는 무겁더라..

 

지지하중이 40Kg가 되는 곳에 설치하라고 되어 있어 모터무게를 느껴본후에는 회전하는 제품 특성상

 

지지가 중요할 것 같았다. 

 

지지하중 40Kg를 해결하기 위해선 천장 내부에 철제나 나무 스터드를 추가해야할 것 같았다.

 

우선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샹들리에를 해체했다. 

 

다행인지 기존 샹들리에 브라켓 고정을 위해 천장 상부 콘크리트에 직결된 스크류심이 연결되어 있다.

 

천장 나무 스터드도 바로 옆에 있어 기존 샹들리에 브라켓 부속 일부는 사용하는 걸로.. 

 

 실링팬용 브라켓에 기존 샹들리에 부속을 다음과 같이 체결하여 콘크리트에 연결된 스크류에도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체결하고

 

나무 스터드에도 하중이 분산되게 스크류 작업을 하기 위하여 위치 표시하고

 

스크류 피스 작업을 위해 사이즈 맞춰 드릴링.. .

 

실링팬용 브라켓을 체결하고 보니 하중에는 문제가 없을것 같다.. (제일 고심되던 부분은 의외로 쉽게

 

해결했지만, 다른 변수가...... ㅋㅋㅋ )

 

설명서에 표시된 대로 브라켓과 모터 연결시 홈 잘 맞추어서 걸어주고.

 

수신기를 연결해야 하는데 안된다. ㅠ.ㅠ

 

실링팬 하중에만 너무 신경쓰느라 결선 부분만 자세히 보면 될 듯하여 설명서를 대충 개략적으로 봤더니

 

발생한 불상사...  가운데 부분 스크류에 걸려 수신기가 들어가지 않는다.. 이런!!!

 

수신기가 걸리지 않도록 천장과 브라켓 사이에 뭐가 공간이 생기도록 해야했다.

 

적당한 두께의 플라스틱으로 아래와 같이 조치하여 수신기 위치를 잡고 수신기와 모터 커넥터 연결(3개의

 

커넥터 중 중간 사이즈인 4핀 커넥터는 사용하지 않는다.)

 

활성성(Live), 중성선(Nuutral), 접지 맞추어 연결, 리모컨이랑 싱크 후 작동 확인하고 선정리.

 

모터캡 씌우고, 스크류 체결한 다음 이쁘게 중심 맞춰 캡 조정하니 중요한 건  다 끝났다.. 

 

날개 조립은 뭐.  아주 간단.. 걍 맞춰서 볼트 조이면 된다.  조립후 이음매가 깔끔하게 떨어지진 않는다.

 

무척 아주 마음에 안드는 부분(제품 교환까지 생각했다.) 에어라트론이 호주 제품인데, 애들도 디테일은

 

떨어지는 듯.  (다이슨 제품에서 영국애들한테도 실망했는데, 이런 부분에선 독일 제품만 한것이 없는거

 

같다. 요즘 실제 제품생산이야 동남아에서 주로 하니 설계나, 품질검사 기준이 떨어진다고 해야 할까?

 

그렇니 이런 제품이 판매되는거겠지... )

모터의 팬 체결부위에 맞추어 연결하고 핀으로 고정하면 끝..

 

설치 완료후 잠시 사용한 거지만..   성능에는 아주 만족.

 

그리고 작동시 회전에 의한 하중도 많이 고민이 되었는데. 

 

실제 Max(6단)로 해도 팬이 회전하는 속도가 빠르지 않다.

 

선풍기 처럼 팬이 회전할 거라 생각했는데, 그냥 '바람이 생길까?' 하는 정도로 회전한다.

 

그런데 바람이 시원하다.

 

소음 없다. 간혹 소음 있다고 된 글을 보았는데.. 잘 못 설치되었거나 제품 하자일듯... 

 

속도가 Max 부근이면 바람 소리만 작게 난다.

최초 비프음 ON(1단), 이후 1단씩 증가

 

아직 여름은 아니지만 현재는 1단으로 사용중.

 

여름에도 에어컨 가동하면 Max 속도까지 쓸 일은 없어 보인다. 

 

겨울에도 좋다는데 최종 판단은 여름과 겨울을 지나봐야겠지만, 

 

현재는 구매하고 설치하길 아주 아주 잘 했다고 생각한다.

 

언제부턴가 식탁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 불편하다..  거실 쇼파나 흔들의자 다음으로 내가 애용하는 녀석이다... 

 

세월의 흔적이랄까? 내가 녀석들을 혹사시킨 탓일까?  원하지 않는 엉덩이 스템프가 찍힌다.......

 

잠시 앉아 있으면 허리도 아프고 뭐가 불편하다.

 

 하단부 배불뚝이가 되어 있다. 오랜 동안 우리 가족을 위해 고생하 녀석들의 노고가 느겨진다..... 

 

그런데, 구조적으로 밑으로 쳐지지 않도록 뭔가 지지대 같은게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가운데 부분에 보강을 해 주면 다시 편안하게 애용할 수 있게 될 것 같은 느낌같은 느낌!!!!!! 

 

각 코너에 있는 나사를 풀고 해체하여 판재같은 것을 넣어 보강하면 될 듯해 보인다... 

 

 

 스크류를 풀고 해체를 하려는데..... 젠장... 나사를 풀었지만 접착까지 되어 있는지 빠질 기미가 없다. 

 

나도 힘은 쫌 쓰는 편인데... 내가 모르는 뭔가가 있는듯 하지만 더 이상의 피스나 타카 흔적도 없다..

 

애착이 많이 가는 녀석들이만 포기하고....  New face를 맞이하려고 찾아 봤지만......

 

구관이 명관이랄까? 지금 녀석들만큼 마음을 흡족하게 해줄만한 것이 보이지 않는다. 

 

 

Think diffenrent !

 

하부면 보다 작은 사각형 모양의 판재를 회전시키면서 집어넣어 코너 지지대에 살짝이라도 걸치게 할 요량으로

 

우선 종이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시도했는데....  실패,

 

아래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이라.  생각처럼 쉽지않다.... 

 

 

 와이프도 원하는 식탁까지 세트로 모두 교체하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인가?

 

 맘에 드는 녀석 찾는것도 쉽지 않을 듯... 

 

 

그런데... 하부 모서리 지지대에 수평방향뿐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어 있는 나사까지 풀어 놓은 녀석을

 

우연히 건드렸는데...  쿠션 상판이 툭~ 하고 분리된다... ㅋㅋㅋ 

 

 

쿠션이 빠진 부분을 살펴보니 지지할 수 있는 판재 10~12T를 넣을 공간도 충분해 보인다.. 

 

쿠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양에 맞게 지지용 판재를 자르고, 스크류 자리는 드릴링하여

 

나중에 스크류 체결시 쿠션과 판재 사이가 뜨지 않도록 하고 맞춰봤더니..

 

아래 처럼 똭~ 이쁘게 맞아 떨어진다... ㅋㅋㅋ

 

최종 마무리...  이전처럼 쿠션을 다시 스크류로 고정하니  빵빵한 옛 모습을 간직한 이쁜 녀석으로 돌아왔다.. ^^

 

편안하게 다시 애용할 수 있게 되니 와이프도 무척 좋아하고 잘했다고 칭찬한다. ^^

 

내가 저지르는 일 중에 와이프에게 칭찬받은 몇 안되는 작업 중 하나.. ㅎㅎ

 

+ Recent posts